NEWS

전체 494

[기사] 간삼건축 4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택을 선언하다_동아일보
PRESS RELEASE
[기사] 간삼건축 4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택을 선언하다_동아일보
동아일보 '강소기업이 미래다' 특집기사에 간삼건축 소식이 게제되었습니다.       [동아일보] 간삼건축 4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택을 선언하다    “건축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 통상적 건축사무소 역할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아파트 공화국, 다양한 삶의 가능성에 대한 선택지 없어” “여전히 삶의 질을 보장받지 못하는 이들을 위한 건축가의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제시할 것” “간삼 런던오피스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세계적 담론에 동참”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는 지난 40년의 행보 속에서 건축가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온 기업이다. 간삼건축은 건축 본질에 대한 지속적 창의, 윤리적 경영,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자 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얻은 성과를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다.올해 창립 40주년을 맞아 간삼건축 김태집 대표이사는 기업 철학을 온전히 담고 기업의 미래 원동력이 될 코빌리지 사업을 통해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주거 문제의 솔루션을 제시하며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 환경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건축가로 거듭나겠다는 선언을 했다.   ≫기사 전문 보기  
2023.11.17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유니세프 어린이 지구촌 체험관 리뉴얼 전시 연출 및 시공용역 제안’
GANSAM NEWS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유니세프 어린이 지구촌 체험관 리뉴얼 전시 연출 및 시공용역 제안’
간삼건축이 ‘유니세프 어린이 지구촌 체험관 리뉴얼 전시 연출 및 시공용역 제안’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Welcome to UNICEF Children’s Global Village 유니세프 어린이 지구촌 체험관의 재료는 유니세프를 상징하면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재료를 제안했다. 주요 공간에는 유니세프 물류창고와 구호 현장에서 사용되는 텐트와 박스, 팔레트, 랩 등을 활용하여 체험관의 현장감을 높였다. 이전에 병렬형으로 구성되어 있던 콘텐츠는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통해 체험 중심으로 재배치하고, 영상과 디자인을 업데이트하여 몰입감 높은 전시 환경을 조성했다.   “유니세프의 후원금은 아이들의 생명과도 같습니다.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사업비용은 소중히 활용되어야 하며 더 많은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번 체험전시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유니세프의 팬이 되어 결국에는 후원자가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가 단순한 시공이 아닌 더 많은 관심, 더 많은 참여, 더 많은 기부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프로세스가 되어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접근하였습니다.” – 이정승   ■ 과업 개요 · 사업명: 유니세프어린이지구촌체험관 리뉴얼 전시연출 및 시공 용역 · 위치: 서울시 마포구 서강로 60 유니세프 빌딩 1층, 2층  · 과업방향: 유니세프 글로벌 물류창고 공간을 체험관으로 구현해, 유니세프 활동과 미션, 5대 중점사업(식수, 보건, 영양, 교육, 긴급구호)를 체험형 콘텐츠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긴급구호 등 유니세프 활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증진하는 공간을 조성한다.   ■ 참여자 · 런던 오피스: 이정승, 김서환 · D.eX 본부: 김미선, 염소라, 김나현 · 콘텐츠개발팀: 윤인상            
2023.11.10
간삼건축 이효상 건축가, 누디트 홍대 오프닝 행사 ‘Re:MAPO 페스티벌’ 연사로 참여
GANSAM NEWS
간삼건축 이효상 건축가, 누디트 홍대 오프닝 행사 ‘Re:MAPO 페스티벌’ 연사로 참여
간삼건축의 이효상 건축가가 11월 8일 누디트 홍대에서 열리는 로컬 문화 축제 ‘이마포(Re:MAPO) 페스티벌’에 연사로 참여합니다. 이마포 페스티벌은 라이프스타일 디벨로퍼 네오벨류가 주관하는 행사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은 도시재생 프로젝트 ‘누디트’ 활동의 일환이며, 간삼건축이 설계한 ‘서교동 공유복합시설’에서 진행됩니다. 이날 이효상 건축가는 변화하는 공간과 건축 트렌드에 대해 공유할 예정입니다.     <이마포(Re:MAPO) 페스티벌> · 일시: 2023년 11월 8일(수)~11월 12일(일), 12:00-20:00 · 장소: 서울 마포구 서교동 460-25, 누디트 홍대 누디트 홍대에서 열리는 이마포 페스티벌     서교동 공유복합시설, 누디트 홍대     ▼ 관련 콘텐츠 · [이효상 건축가 칼럼] 서교동 소셜라이징 플랫폼 공유 호텔 · [이효상 건축가 칼럼] 신개념 호텔 & 레지던스의 바람이 분다! 이효상 건축가가 바라본 새로운 거주 유형의 변화
2023.11.07
[영상] The Material 성수동 : 오래됨과 새로움
YOUTUBE
[영상] The Material 성수동 : 오래됨과 새로움
The Material 성수동 : 오래됨과 새로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성수동,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일상이 쌓여 거리의 입면이 다양하게 형성된 지역입니다.   성수하면 생각나는 붉은 벽돌, 공장의 철제, 지금의 새로운 재료들. 골목을 거닐며 만나는 재료들이 성수동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간삼건축은 '도시의 재료'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물성이 공존하는 성수동 골목에 다녀왔습니다.   간삼건축이 담는 우리 도시 다시보기 프로젝트, The Material 함께 도시의 재료들을 산책해봐요.     유튜브 채널에서 간삼건축의 다른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바로가기      
2023.11.02
[영상] 2023 Gansam Visual Concept Art
YOUTUBE
[영상] 2023 Gansam Visual Concept Art
2023 Gansam Visual Concept Art   다양한 시각을 바탕으로 영역을 확장하며 더 좋은 삶의 풍경이 무엇일지 고민합니다.   건축가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고민하고, 성장하는 건축가들이 모인 간삼건축의 조금 색다른 컨셉 아트 영상입니다. 간삼건축의 상상과 도전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유튜브 채널에서 간삼건축의 다른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바로가기        
2023.10.23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 건축문화포럼 및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
GANSAM NEWS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 건축문화포럼 및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
2023 제15회 서울건축문화제 시민참여프로그램 《건축문화포럼》 &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     [건축문화포럼] 간삼건축을 포함한 4개의 건축사사무소가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3년 10월 28일 토요일, 14:00 - 16:00   장소 서울공예박물관 강당   참여자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박무찬 부사장(CDO) ㈜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민현준 대표 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김용남 대표 리을도랑건축사사무소 김성률 대표   모더레이터 김광현 교수(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신청접수 하러가기>         [서울특별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 대상인 'LG아트센터 서울 및 LG디스커버리랩 서울'을 포함한 수상작 전시가 10/19(일)에 종료됩니다. LG아트센터 서울의 컨셉 모형과 단면 모형을 만날 수 있으니 전시가 끝나기 전에 방문해보세요.     전시기간 ~2023년 10월 29일 일요일   장소 서울도시건축전시관 화-일, 10:00-19:00 운영       □ 관련 콘텐츠 보기 [수상] LG 아트센터 서울·LG 디스커버리랩 서울 '제41회 서울특별시 건축상' 대상 [인스타그램] 서울건축문화제 with 간삼 [네이버블로그]  2023 제 15회 서울건축문화제 건축문화포럼,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  
2023.10.19
[영상] Co.village_Prefab House, 친환경 목구조 프리패브 공법
YOUTUBE
[영상] Co.village_Prefab House, 친환경 목구조 프리패브 공법
Co.village_Prefab House, 친환경 목구조 프리패브 공법 코빌리지에 지어지는 단독주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코빌리지에 지어지는 단독주택은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프리패브 공법을 사용해 만들어집니다. 프래패브(Prefab)는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미리 만들어 냄)의 줄임말로 프리패브 공법이란 공장에서 건축 부재를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간단한 조립이나 설치만으로 건축물을 완성하는 공법을 말합니다. 영상을 통해 프리패브 공법의 제작부터 설치 과정을 살펴보세요.     유튜브 채널에서 간삼건축의 다른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바로가기    
2023.10.13
골프존카운티 사천 골프빌리지 조성 공모 당선, 스테이 룬 (STAY LUND)
GANSAM NEWS
골프존카운티 사천 골프빌리지 조성 공모 당선, 스테이 룬 (STAY LUND)
국내 골프 업계의 선두주자 골프존카운티가 신개념 골프빌리지 조성을 목적으로 진행한 경남 사천 골프장 부지 내 설계 및 시공 공모에 간삼건축이 설계사로 당선되었습니다. 금번 공모는 이동식 목조주택의 제조 기술력을 보유한 설계사 및 시공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새로운 design field market의 출현을 보여주었습니다.   간삼건축은 2018년에 이동식목조주택을 제조하는 스타트업 ‘간삼생활디자인’과 2019년에 브랜딩·콘텐츠 기획과 운영을 하는 ‘간삼기획’을 설립한 데 이어 2023년 8월에는 아웃도어 레저 미니 리조트 ‘Tiny Resort’를 론칭했습니다. 건축 이외의 영역을 넓히려는 이러한 다양한 시도들은 골프존카운티 사천 골프빌리지의 디자인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새로운 스테이 플랫폼, ‘스테이 룬(STAY RUND)’이 탄생하였습니다.      아웃도어 라이프로 가득한 골프존카운티만의 새로운 스테이 플랫폼, 스테이 룬 (STAY LUND) ‘스테이 룬(STAY LUND)’은 New nordic style 골프빌리지로, 단순한 숙박경험 그 이상의 콘텐츠를 담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어로 작은 숲을 뜻하는 룬(RUND)의 이름처럼 작은 숲속에 펼쳐진 자연에서 외부공간과 교감하는 아웃도어 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전통적인 골프 비즈니스를 넘어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취향에 따라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숲속 호스피탈리티로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스테이 플랫폼이 이번 디자인의 핵심 컨셉입니다.  ■ 참여자 사업기획그룹 : 김태성 설계디자인그룹 : 이혁, 정진훈 HOSPITALITY 디자인부문 : 이효상 HOTEL & RESORT 본부 : 고병수, 강완경, 권재은, 오성희, 김옥수, 김석주, 황세연 CREATIVE DESIGN 본부 : 이명률, 박상규, 김규태, 장미미, 주아름 GDS : 이승연, 김보나, 조미선, 이유진, 김영진, 윤규인, 차영회 간삼생활디자인: 이윤수 CG: 이봉섭, 민정식   ■ 설계 개요 대지위치 :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다평리 1475외 3필지  대지면적 : 9,432.00㎡  층    수 : 지상 1층  구조방식 : 중목구조, 프리패브 공법   아웃도어 라이프로 가득한 골프존카운티만의 새로운 스테이 플랫폼, 스테이 룬 (STAY LUND)   공간의 주요 소재는 자연 본연을 느낄 수 있는 유기적인 소재로 구성   아웃도어 라이프를 향유하면서 필드의 평온한 경치를 만끽할 수 있는 곳   스테이 룬 (STAY LUND) 전경   □ 관련 콘텐츠 - 중앙일보: 간삼건축, 아웃도어 미니 리조트 프로젝트 공개 - 간삼블로그: 간삼건축, 2023 공간디자인페어 'Tiny Resort' 디자인 쇼룸에 초대합니다. 
2023.10.12
서울시 도시·건축창의·혁신디자인 시범사업 선정, 어반 플라타너스(Urban Platanus)
GANSAM NEWS
서울시 도시·건축창의·혁신디자인 시범사업 선정, 어반 플라타너스(Urban Platanus)
서울시가 도시 건축 디자인을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올리기 위해 추진한 ‘도시, 건축 창의, 혁신디자인 시범 사업 공모’에 간삼건축이 제안한 효제동 업무시설 어반 플라타너스가 선정되었습니다.   "어반 플라타너스는 서울 지하철 종로5가역의 지하 연결통로 및 1층에 설치한 도시광장에 대한 공공성, 연결성이 우수하고, 가로수를 확장한 수직 녹지 공간을 잘 표현했다." - 심사평 中     지역의 이야기를 담는 시민 개방공간과 수직으로 확장되는 녹색 경관을 갖춘 ‘어반 플라타너스(Urban Platanus)’ ‘어반 플라타너스(Urban Platanus)’는 이 지역의 상징적인 가로수 플라타너스가 수직으로 확장된 듯한 형태의 도시건축 디자인입니다. 개발의 사각지대로 40여년간 비교적 낙후된 도시로 남아 있는 종로구 효제동에 두 건물이 닮은 듯 다른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통해저층 고밀화로 빽빽한 도시 환경에 녹지 공간을 연출합니다.   도로를 사이에 두고 대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고 위치한 어반 플라타너스는 1층을 비워 넓은 광장을 형성하고 다양한 이야기들이 만들어지는 공유 공간으로 탄생합니다. 이 공간은 지하철역까지 입체적으로 연결되어 업무시설 이용자, 지역주민, 관광객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로써 도심 지역에 활력을 넘치게 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참여자 OFFICE DESIGN : 이혁수, 이효석, 김경하, 김현준, 노수정, 조태식, 손은지, 방성민, 윤성중 정비사업팀 : 이승필, 여찬희   ■ 설계 개요 대지위치 : 서울시 종로구 효제동 일원 대지면적 : 3,284㎡ 건축면적 : 1,850㎡ 연 면 적 : 45,185㎡ (2개동) 층 수 : 지하 7층, 지상 21층   효제동 업무시설, 어반 플라타너스 어디서든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저층부 공간   다양한 이야기들이 만들어지는 가로 경관   □ 관련 콘텐츠 - 건축사신문: 서울시, 민간 창의혁신디자인 대상지로 ‘어반 플라타너스·크리에이티브 그라운드’ 2곳 추가선정 - 매일경제: 종로 ‘어반 플라타너스’...서울시 창의디자인 선정 - 간삼블로그: 어반 플라타너스(Urban Platanus), 서울시 도시·건축창의·혁신디자인 시범사업 선정
2023.09.22
[영상] Co.Village Site view
YOUTUBE
[영상] Co.Village Site view
  Co.Village Site view 코빌리지가 지어질 강원도 고성의 풍경을 담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곳에서 살아가고 싶으신가요?   우리는 각자 자신의 삶을 그려나갑니다. 정해져 있는 정답은 없어요.   누군가는 도시 생활을 다른 누군가는 5도 2촌의 삶을 또 다른 이는 자연과 계속 맞닿아 있는 삶을 꿈꾸죠.   강원도 고성을 담은 영상과 소리를 즐기며 이곳에서 생활하는 나는 어떨지 상상해 보세요.     유튜브 채널에서 간삼건축의 다른 이야기도 만나보세요. 유튜브 바로가기  
2023.09.20
  • 10
  • 494